전국 공동주택 1,416만8,992호 중 52.4%(743만324호) 수도권에 쏠려 | 뉴스로
정부기관

전국 공동주택 1,416만8,992호 중 52.4%(743만324호) 수도권에 쏠려

전국 공동주택 1,416만8,992호 중 52.4%인 743만324호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경기 광주시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특별시에 263만3,287호, 인천광역시에 92만5,627호, 경기도에 387만1,410호의 공동주택이 집중됐다.

건축법 시행령에 따르면, 공동주택은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로 구분된다. 아파트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이고, 연립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을 말하며, 다세대 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1개 동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자세히 살펴보면, 서울시 공동주택 중 65.7%인 173만1037호가 아파트, 29.5%인 77만7,250호는 다세대주택, 4.7%인 12만3,979호는 연립주택이었다.

경기도는 79.3%인 307만1,694호가 아파트, 17.4%인 67만2,468호가 다세대주택, 3.3%인 12만6,080호가 연립주택이었다.

인천광역시는 71.7%인 66만3,608호가 아파트, 25.2%인 23만3,124호가 다세대주택, 3.1%인 2만8,604호가 연립주택이었다.

아파트 현황을 자세히 보면, 서울시에서 아파트가 제일 많이 분포된 곳은 노원구로, 노원구 공동주택 대비 89.8%인 16만1,029호가 아파트였다. 그다음은 성동구로 84.6%인 6만7,885호, 강남3구인 서초구(9만2,091호), 강남구(12만,3,803호), 송파구(11만8,768호)에는 총 33만 4,662호의 아파트가 분포돼 있다.

경기도 31개 시·군 중 아파트 비율이 80%를 넘는 곳은 16곳이며,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곳은 하남시였다. 하남시 공동주택 7만6,159호 중 95.2%인 7만2,517호 였다. 김포시, 화성시도 각각 90.6%, 91.6% 아파트 비율을 보였다.

인천광역시 10개 시·군 중 연수구가 가장 높은 아파트 비율을 보였다. 연수구 공동주택 12만3,559호중 93.8%인 11만5,921호가 아파트였다.

서민층이 주로 거주하는 연립·다세대주택 현황을 살펴보면, 전국 공동주택 대비 연립주택은 3.9%인 54만8,534호, 다세대주택은 15.4%인 218만5,043호다.

다세대주택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했다. 전국 다세대주택 중 77% 168만2,842호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연립주택도 전국 연립주택 대비 절반 넘게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서 다세대주택 비율이 높은 곳은 은평구로, 은평구 공동주택 중 51.4%인 6만8,924호가 다세대주택이며, 광진구 49.8%, 강북구 49.4%의 비율을 보였다.

서울시에서 연립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종로구였다. 종로구 공동주택 대비 19.1%인 6,599호가 연립주택이었다.

경기도에서 다세대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광주시로 광주시 공동주택 대비 51.8%인 5만6,642호가 다세대주택이었다. 연립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가평군으로 가평군 공동주택 대비 19.4%인 1947호가 연립주택이었다.

인천광역시에서 다세대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옹진군으로 옹진군 공동주택 중 69.8%인 785호가 다세대주택이었다. 연립주택 비율이 높은곳은 강화군으로 15.2%의 비율을 보였다.

소병훈 의원은 “인구의 수도권 집중으로 전국 공동주택도 수도권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라며, “과밀화된 수도권은 교통, 주택, 환경문제 등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하는 종합 플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스제보 jebo@newsro.kr

<©국가정보기간뉴스–뉴스로,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